Programming/Computer Science
연산자 ‘/’와 ‘%’ 정리
핌이 (Pimgrim)
2024. 3. 14. 17:42
연산자 '/'와 '%'에 대한 설명
5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
0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9 |
/5 = 0 | 0 | 0 | 0 | 0 | 1 | 1 | 1 | 1 | 1 |
%5 = 0 | 1 | 2 | 3 | 4 | 0 | 1 | 2 | 3 | 4 |
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, 5보다 작은 정수는 5로 나눌 수 없기 때문에 몫은 0, 나눠지지 못한 값은 그대로 %의 값이 된다. 또한, 연산자에게 % 란 상쇄 후 남은 값을 뜻한다. 5과 동일한 5를 나누면 몫은 1, 남은 값은 0이 된다. 5보다 큰 정수를 나누면 해당 정수가 나오는 5의 배수가 나오며, 연산 과정 후 남은 값이 %의 결과가 된다.
<정리>
- a < b일때, a / b는 0이다.
- a < b일때, a % b는 a이다.
- a = b일때, a / b는 1이다.
- a = b일때, a % b는 0이다.
- a > b일때, a / b는 a÷b의 정수 부분이다.
- a > b일때, a % b는 a-(a÷b의 정수 부분)이다.
반응형